Stylus
Display 의 form factor 가 foldable, rollable, stretchable 등 화면을 접거나, 말거나, 당길 수 있도록 기술이 발전되고 있습니다. 이로 인해 화면이 더 커지게 되고, 더 커진 화면을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Touch 뿐 아니라 Stylus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.
출처: 2021년 SID(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) 학회 SDC(삼성디스플레이) keynote speech
그럼 세상에는 어떤 stylus 기술이 있을까요? 크게 2가지 종류로 나눠질 수 있고 이는 배터리가 필요한 active stylus와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은 passive stylus입니다.
Active stylus 에는 이미 다양한 pen 종류와 다양한 통신 규격 (protocol) 이 혼재합니다. Active stylus 는 배터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계속 충전을 해야 하고, 모든 기기가 모두 다른 통신 규격으로 동작을 하기 때문에 각 기기별로 다른 Pen 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습니다.
Passive stylus 로 대표적인 제품은 삼성의 갤럭시 노트 모델에서 사용되고 있는 S-pen 이 있고 앞쪽에 커다란 고무가 달려서 터치가 가능한 Conductive stylus 가 있습니다. Passive stylus 는 배터리가 없어서 충전할 필요는 없지만 별도의 stylus 용 sensor 필름을 사용해야 하는 기술 구현의 불편함이 있거나 Conductive stylus 는 손가락 터치와 Stylus 를 완벽히 구분할 수 없는 기술의 한계가 있습니다.
우리는 active stylus와 passive stylus의 장점만을 갖는 Stylus 기술을 개발할 수는 없을까 라는 고민을 시작했습니다.
No Protocol No Battery No Stylus Sensor Single IC
HIDEEP Stylus (H-Stylus™) 기술은, 월등한 성능으로 2014년 양산을 성공했던 Conductive Stylus 부터 시작되었습니다.
Conductive Stylus (Passive), 1mm tip & palm-rejection 기능 포함.